황우석교수 사건에 김수환추기경 눈물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 최근 일고있는 황우석 교수팀의 배아줄기세포 진위 논란에 대해 김수환 추기경이 "세계인들 앞에서 고개를 들 수 없는 부끄러운 일"이라고 소감을 나타냈다. 김 추기경은 16일 서울 혜화동 집무실에서 평화신문과 가진 성탄 특별대담에서 "서울대 측이 제기된 의혹을 조.. 07_건강_食_교육 2005.12.23
전북 시골학교 “얕보지마”… 전교생 수시합격 신화 창조 ○…도내 시골학교가 ‘전교생 수시합격’이라는 신화를 창조했다. 무주 무풍고(교장 김종성)와 고창 해리고(교장 이강로)는 전교생 전원이 4년제 대학과 전문대 수시모집에 합격하는 쾌거를 이룩했다. 무주읍내에서 25㎞ 가량 떨어진 경상도와 경계에 위치한 무풍고는 전교생 11명 전원이 ‘대학생 배.. 07_건강_食_교육 2005.12.21
입시전선 몸던진 아버지들 [서울신문]‘부풍당당(父風堂堂).´ 2006학년도 대학입시에 ‘바짓바람’이 거세다. 대학과 학과마다 전형방법이 크게 다르고 당락의 변수가 셀수 없을 만큼 많아지면서 아버지들이 자식들 입시전선에 온몸을 내던지고 있다. 오는 24일 입학원서 접수를 코앞에 두고 내 아이의 ‘맞춤형 컨설턴트’를 .. 07_건강_食_교육 2005.12.21
2005년 신조어로 보는 한국사회 2005년 대한민국 신조어 ‘부비부비’·‘구석방 폐인’ 등 월별 신조어로 한해 정리 레이거노믹스(1980년)·닷컴(1994년)·스피드데이팅(·1998년)·사스(2002년)·포드캐스팅(2004년)…. 이 영어 단어들은 영국의 언어학자 수지 덴트가 뽑은, 지난 100년간을 대표하는 단어다. 올해 우리나라는 어떤 단어들.. 07_건강_食_교육 2005.12.20
우리魂 "아리랑" 뜻, 어원 그리고 사랑하기 우리말..우리노래..우리 魂 ..우리의 限.... "아리랑"을 사랑하고 연구하고 보존하고 싶어 여기에 내용들을 모아 본다.* (1) `아리랑은 고운 님을 의미한다(?)' 북한 주간지 통일신보 최신호(12.10)가 아리랑의 어원을 다각적으로 분석해 눈길을 끌고 있다. 16일 북한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에 따르면 통일신.. 07_건강_食_교육 2005.12.16
인도요리 전문점 안내 한국인 입맛에 맞춘 인도요리 선보이는 강 가 인도어로 갠지스강을 뜻하는 강가에서는 인도의 일류 호텔과 유명 레스토랑에서 10∼25년의 경력을 쌓은 인도 요리사 3명과 한국 요리사 3명이 한국인 입맛에도 잘 맞는 인도요리를 만들어낸다. 인도 고유의 패브릭과 벽화, 전등으로 꾸며진 인테리어가 신.. 07_건강_食_교육 2005.12.15
재산권 과잉 침해한 사학법 [시론] 재산권 과잉 침해한 사학법 야당이 배제된 상태에서 사립학교법 개정안이 9일 국회를 통과했다. 이에 대해 사학법인 단체들은 강력히 반발, 헌법소원은 물론 법률효력 가처분 신청까지 내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한나라당도 박근혜 대표를 중심으로 장외투쟁에 들어갔다. 사학법인들은 신입.. 07_건강_食_교육 2005.12.14
"분규 조금만 일어나도 학교 뺏기는 건 순식간" "분규 조금만 일어나도 학교 뺏기는 건 순식간" 사학들 "이사 취소 규정 모호 … 독소조항" 부친이 설립한 대학교를 2000년 임시이사(관선이사)에게 넘겨주고 학교 일에서 완전히 손을 뗀 P씨는 "학교를 빼앗긴 일은 순식간이었다"고 회고했다. 당시 재단의 회계 부정이 내부자에 의해 공개되면서 교수 등.. 07_건강_食_교육 2005.12.14
김수환 추기경, 사학법 강행 처리 비판 "정말 걱정되는 건 나라" 김수환 추기경, 사학법 강행 처리 비판 "사학법 목적, 비리 척결에만 있는 것 같지 않아" 김수환 추기경은 국회에서 통과된 사학법 개정안에 대해 "정말 걱정되는 것은 나라다. 목적이 학교 비리 척결에만 있는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김 추기경은 13일 "군종 신부들 얘기로는 '.. 07_건강_食_교육 2005.12.14
[스크랩] 건강먹거리 명아주 180살 까지 건강하게 살 수 있는 먹거리 명아주...그렇지님제목을 이렇게 붙이고 나니까 제가 무슨 약장사 같습니다.어제 새롭게 알게 된 좋은 먹거리가 있어서 모든 사람들에게 가르쳐 드리고 싶어서 제목을 이렇게부쳐 봅니다. 며칠전부터 동네 할머니 한분이 관절염으로 고생 하시는데 이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약국을 하시는 분이 있는데 그 분의 약을 먹으면 관절염에 효과가 있다고 완전히 그 약을 드시면 아프시던게 금방 나으실 것 처럼 말씀을 하시고얼마나 대단하면 그 약을 사러 부산이나 울산에서도 일부러 온다고하고그 약에 대한 신뢰가 대단 하셔서 시간을 내어 그 약을 사러 원주에서 좀 들어 가는 그 약국을 찾아 갔습니다가서 보니 약사분의 얼굴이 익었습니다.작년 어버이날에 자녀가 없는 노인분들에게 꽃을 달아 드리고.. 07_건강_食_교육 2005.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