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 금대봉...야생화길 가을길은 어딜 가나 좋다. 바람·볕·공기가 좋고, 거기에 꽃길이라면 금상첨화다. 지난 9일 강원도 태백 두문동재(1268m)에서 금대봉(1418m), 분주령 너머 대덕산(1307m)까지 걸었다. 단풍 들 때까지 야생화가 있는 길이다. 이름 모를 들꽃을 힐끗 보고 지나치면 영영 이름을 알지 못한다. 그래.. 10_사진_農_들꽃 2012.09.29
야생화_구례 종묘원 이야기 구례 땅에 반해버린 묘목업자의 아들 '이름없는 들꽃'들을 농장에 모셨는데… 그렇게 수집하고 연구한 꽃이 700종 그가 이름을 붙여주자 들풀은 그에게 와서 꽃이 되었다. 2002년 서울에서부터 하나하나 생겨난 도심 '야생화 정원'엔 그의 땀방울이… 장형태(張亨泰·56)는 농부다. 잡초 취급받던 우리 .. 10_사진_農_들꽃 2010.06.06
도라지에 미친 父子 도라지에 미쳐 52년, 代이어 미쳐 12년 '장생 도라지' 이성호·영춘 父子 35년 전 지리산(智異山) 자락에 괴상한 소문이 돌았다. 가재·개구리 잡아먹고 칡뿌리·솔잎으로 연명하는 백발의 사내를 보고 사람들은 갑론을박했다. "산신령이다" "아니다. 세상을 등진 정신병자다!" 정체가 불분명한 이 남자는.. 10_사진_農_들꽃 2009.05.16
파란 장미, 주황색 페튜니아… 유전자 변형기술로 '활짝' 기존 색 유전자 차단하고 새로운 색 유전자 넣어 일(日)서 '파란 장미' 개발 온도·산성(酸性) 등 환경에 따라 나팔꽃·라일락꽃 색 변해 봄이 되면 연세대 신촌캠퍼스 한글탑 옆엔 '미친 벚나무'가 꽃을 피운다. 정확히 말해 이 나무는 벚나무의 친척뻘인 겹벚나무로, 원래 진분홍색 꽃을 피워야 한다. .. 10_사진_農_들꽃 2009.04.21
성남시에 식물원 여는 신구대(大) 이숭겸 총장 10만㎡ 식물원 여는 신구대(大) 이숭겸 총장 11년간 외국식물원 연구 투병 중에도 해외 출장 "제대로 된 식물원 만들어 수도권 주민들 쉼터로" 식물원에 미친 사내가 있다. 서울 근교에 식물원 짓는 걸 평생 과업으로 삼은 남자, 10여년 동안 20개국 130여개 식물원을 찾아다닌 이숭겸(李崇謙·53) 신구대학.. 10_사진_農_들꽃 2009.04.15
지리산 반달가슴곰 첫 출산 (서울=뉴스와이어) 환경부는 국내 고유종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 2개체가 건강한 새끼를 출산한 것을 '09년 2월말 현장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새끼 한 마리씩을 출산한 어미 2개체(NF-08, NF-10)는 5년생으로 '05년 북한으로부터 도입된 것이며, 두 마리 모두.. 10_사진_農_들꽃 2009.03.08
[스크랩] 새콤달콤 꽃에 대한 보고서-꽃김밥 ★ 식용꽃과 허브 ★ ● 식용장미를 물병에 꽂아 두었다(실제로는 사진보다 약간 작다) 보기도 이쁜 꽃이 먹기도 아까워라.. 수년전부터 허브는 우리 식탁에 많이 올라오고 있다 자연이 우리에게 준 식용꽃 또한 허브 못지않게 먹거리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최근 몇년전부터 식용꽃이 유행하더니 많은.. 10_사진_農_들꽃 2008.09.02
[스크랩] 사약의 원료로 쓰였던 투구꽃 설악산 서북능선을 답사하는 중에 등산로에 피어 있는 투구꽃을 만났다. 투구꽃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꽃이 투구처럼 생겨 이런 이름이 붙었다. 투구꽃은 깊은 산골짜기에서 높이 약 1m로 자란다. 뿌리는 새발처럼 생기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며 손바닥 모양으로 3∼5개로 .. 10_사진_農_들꽃 2008.09.01
전자파가 꿀벌에 미치는 영향 (중앙일보 송의호) 휴대전화의 전자파가 꿀벌의 생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여주는 실험이 이루어졌다. 꿀벌연구소를 운영하며 양봉을 하는 안상규(47)씨는 9일 "최근 국내외에서 꿀벌 개체 수가 줄어드는 원인을 밝히기 위해 꿀벌 주변에서 휴대전화로 통화하며 습성을 관찰한 결과 휴.. 10_사진_農_들꽃 2008.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