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진오의 野, 야생화다!] ‘민들레 홀씨’는 잘못된 표현
|
봄마다 지천으로 피어나는 앉은뱅이꽃을 민들레라고만 가르칠 것이 아니다. 도시에 많은 것은 서양민들레이고, 민들레는 시골에만 조금 남아 있다고 가르쳐야 한다. 모인꽃싸개 조각이 아래를 향한 것은 서양민들레이고, 모인꽃싸개 조각이 위를 향하고 조각 끝에 삼각형 뿔이 달린 것은 민들레, 모인꽃싸개 조각이 위를 향하고 있지만 뿔이 달리지 않은 것은 산민들레라고 알려주어야 한다.
나팔꽃뿐만이 아니라 둥근잎나팔꽃과 미국나팔꽃도 있다는 것을 가르쳐야 하고, 메꽃이나 애기메꽃도 나팔꽃과 아주 가까운 친척 식물이라고 가르쳐야 한다. 나리, 들국화라는 이름을 가진 풀꽃은 없으며, 참나무라는 이름을 가진 나무도 없다는 것을 자연스레 알아가게 가르쳐야 한다. 참나리, 중나리, 하늘나리 같은 나리꽃들이 있으며, 들국화는 감국, 산국, 구절초 따위를 통칭하는 것이고, 참나무는 신갈나무, 떡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등을 합쳐서 부르는 이름이라는 것을 알려주어야 한다.
종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식물의 특성에 대해서도 옳게 가르쳐야 한다.‘민들레 홀씨’라고 말하는 것은 잘못이며, 민들레는 열매와 씨가 있을 뿐 홀씨가 달리지 않는다고 가르쳐야 한다. 홀씨는 고사리나 이끼에서 볼 수 있는 것일 뿐 민들레 같은 꽃 피는 식물에서는 홀씨가 없다고 가르쳐야 한다. 또한, 민들레 한 송이는 하나의 꽃이 아니라 100∼200개의 꽃들이 모여 이루어진 것임을 가르쳐야 한다. 민들레는 갈래꽃이 아니라 통꽃이라는 것을 가르쳐야 하고, 그것을 한번쯤 관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공교육과정에서 단계에 따라 가르쳐야 할 식물 종의 숫자와 종류를 정하고, 가르칠 식물의 습성도 정해야 한다. 이를테면,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서양민들레, 개나리를 비롯하여 5종류의 식물을 가르치고, 고학년에서는 15종류, 중학교에서는 30종류, 고등학교에서는 50종류의 식물을 더 알도록 가르친다.
지구상에 사는 30만 가지나 되는 식물들 각각이 하나의 생물 종으로서 인간이 하나의 생물 종인 것과 같다는 것도 더불어 가르쳐야 한다. 이를 통해 수많은 종들이 살고 있는 자연을 인간 한 종이 함부로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스스로 깨우치게 해야 한다.
청소년에게 생물 종을 잘 가르치기 위해서는 교사가 먼저 배워야 한다. 새를 잘 아는 교사, 식물에 정통한 교사, 양서류나 파충류를 연구하는 교사, 나비와 딱정벌레를 사랑하는 교사가 있어야 한다.
생태계니 자연이니 하는 덜 구체적이고 애매모호한 말을 끌어다 자연사랑의 마음을 가르칠 것이 아니라, 생태계나 자연을 이루는 생물 종과 그들의 특성을 먼저 가르치기 위함이다. 생물 종에 대한 관심과 사랑은 이들이 살아가는 장소인 생태계나 자연에 대한 사랑으로 발전하기 마련이다.
생물 종들이 함께 사는 곳이 생태계, 곧 자연이므로 생태계에 대한 이해는 그곳에 살고 있는 생물 종을 아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생태계를 지켜야 한다는 믿음은 생물 종을 사랑하는 데서 비롯되어야 더욱 구체적이기 때문에 쉽게 변치 않는다. 생물 종의 이름과 습성을 가르쳐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식물을 비롯하여 생물 종들을 구별하여 가르치는 것은 사물을 정확히 인식하고, 빈틈없는 사고의 틀을 가르치는 일이다. 비슷해 보이는 생물 종들을, 구체적인 근거를 가지고 관찰하여 구분하도록 가르치는 것은 과학적인 사고를 기르는 지름길이기도 하다.
동북아식물연구소장 현진오 / 서울신문에서 퍼옴. *^^*
'10_사진_農_들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리핀 수빅 여행_20080204 (0) | 2008.02.11 |
---|---|
Mt Samat in Bataan (0) | 2008.02.04 |
[스크랩] 건강에 좋은 상황별 맞춤 꽃이야기 (0) | 2007.10.21 |
필리핀 풍경_20071010 (0) | 2007.10.11 |
Limay Sunset Camp_20071007 (0) | 2007.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