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IA 증권분석사
증권 투자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문적인 기업가치의 분석 및 평가를 통하여 유용한 투자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고급 증권거래 관련 전문인력을 입증 할 수 있는 자격증.
주관 / 인증 기관 : 한국증권업협회(증권연수원)
난이도 : 상
준비기간 : 12개월~24개월
합격기준 : 시험과목별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과목별 응시자의 상위 100분의 1에 해당하는 자의 평균점수의 100분의 40 이상을 득점한 자 중에서, 전체시험과목을 100점 만점 기준으로 하여 응시자의 상위 100분의 1에 해당하는 자의 평균점수의 100분의 70 이상을 득점한 자. 다만, 응시자가 100명 미만일 경우 최고 득점자를 응시자의 상위 100분의 1에 해당하는 자로 간주!
과목 : 가치평가론, 재무분석론, 증권경제론, 증권 관련 법규 및 세제 (총 4과목)
관련 전공시 도움되는 선수과목 : <경제학원론>, <재무관리>, <위험관리>, <증권투자론>, <화폐금융론>, <증권거래법>, <계량경제학>, <회계원리>, <선물과 옵션론>, <거시경제학>, <상법의 이해>, <재무제표 분석>
특징 : 1차시험은 객관식 4지선다형이고 합격자에 한해 2차 주관식 시험 응시 자격 부여 합격후 증권분석사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증권회사에 재직중인 상태에서 증권협회에 증권 전문인력으로 신고를 필히 하여야 하며, 한국증권업협회(증권연수원)에서 주관하는 금융자격증 시험중에 최고의 난이도를 자랑한다.
2. CFA 국제재무분석사
금융권에서 재무분석 및 투자에 관해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국제 자격증 중 하나.
주관 / 인증 기관 : 미국AIMR(Association for Investment and Research)
난이도 : 상
준비기간 : 18개월~36개월
합격기준 : 1ㆍ2ㆍ3차 시험 모두 응시자 최고 성적의 70% 안에 들면 합격. 상위1%의 70%의 점수 합격!
과목 : Ethical and Professional Standard (직업 윤리), quantitative Methods (통계학), Economics (경제학),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재무제표 분석), Corporate Finance (재무 관리), Markets Instrument & Analysis of Equity Investments (시장분석 및 주식분석)
Analysis of Debt Investment (채권 분석, Fixed Income Securities), Derivative Investment (파생 금융 상품), Portfolio Management & Analysis of Alternative Investment (포트폴리오 및 대체투자자산 분석) (총 9과목) 레벨에 따라 과목별 주제나 비중이 달라지는 경향이 있음을 참고!
전망 : CFA 정도의 국제 자격증 소지만으로도 금융권에서는 자부심을 가질 수 있으며, 아직까지도 희소성이 높은 자격증이므로 점차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
관련 전공시 도움되는 선수과목 : <재무관리>, <통계학>, <경제학원론>, <거시경제학>, <미시경제학>,
<계량경제학>, <선물과 옵션론>, <증권투자론>, <회계원리>, <재무제표 분석>, <파생 금융 상품론>
특징 : 자격증 자체가 이론 중심보다는 실무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실무에도 도움이 많이 된다. 1,2,3차라의 레벨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레벨별 시험과목은 똑같으나 난이도가 점점 높아진다는 것이 특징.
3. CFP 국제재무설계사
금융권에서 재무분석 및 설계 또는 투자에 관해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국제 자격증 중 하나.
주관 / 인증 기관 : FPSB Korea
난이도 : 상
준비기간 : 18개월~36개월
합격기준 : CFP? 자격 인증 시험의 합격자는 지식형과 사례형의 전체 시험에서 평균 100분의 70이상을 득점 한 경우 단, 제1일차의 지식형 시험의 경우, 시험과목별로 각각 100분의 40 이상을 득점하고
제2일차 사례형 시험의 경우 100분의 40 이상을 득점 해야 합격!
과목 : 총 9과목
지식형 - 파이낸셜 플래닝, 위험관리와 보험설계, 투자설계, 부동산 설계, 은퇴설계 및 종업원 복리후생, 세금설계, 상속 및 사업승계 설계
사례형 - 단일 사례, 복합사례
전망 : CFA 정도의 국제 자격증 소지만으로도 금융권에서는 자부심을 가질 수 있으며, 아직까지도 희소성이 높은 자격증이므로 점차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
관련 전공시 도움되는 선수과목 : <재무관리>, <위험관리>, <경제학원론>, <금융사례 분석 및 연구>,
<증권투자론>, <재무제표 분석>,<부동산 개론>, <파생 금융 상품론> 등
특징 : CFP자격인증 유효기간은 2년, 2년마다 윤리를 포함한 30학점의 계속 ?규학점 취득 및 자격인증 갱신등의 절차를 걸쳐야 계속적으로 CFP로서의 전문 활동 수행이 가능
4. 기타 금융권 관련 상급~최상급 자격증
* 세무사 (CTA)
* 공인회계사 (CPA)
* 미국 공인회계사(AICPA)
* 국제 공인 관리 회계사(CMA)
* 국제 공인 재무 관리사(CFM)
CFA(Chartered Financial Analyst)
CMA(Certified Management Accountant)
FRM(Financial Risk Manager)
CTP(Certified Treasury Professional)
CFP(Certified Financial Planner)
FPSB(Financial Planner Standard Board)
AICPA(American Institute of Certified Public Account)
AIMR(Association for Investment and Research)
* 참고자료
한국증권업협회(증권연수원) 홈페이지
와우패스 홈페이지
FPSB Korea 홈페이지
* 주의사항
각 자격증의 난이도 및 준비기간은 개인의 노력여부나 사전 지식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선수과목의
경우 학사나 석사 과정에서 각 학교의 교육과정별로 과목이름이 다를 수 있음.
가져 온곳
http://notans.tistory.com/343?srchid=BR1http%3A%2F%2Fnotans.tistory.com%2F343.
*^^*